엄마는 어제처럼 돌아오지 않았다. 내일도 오늘처럼 오지 않을 거다. 3년 넘게 그랬으니, 앞으로의 3년도 다르지 않을 거다. 8살 박성재(가명), 6살 박소현(가명)은 그래도 엄마를 기다린다.

아버지 박귀섭은 아들과 딸이 누구를 기다리는지 안다. 그걸 알아도 엄마를 데려올 수 없다. 아버지에겐 그럴 능력이 없다. 아버지는 엄마 대신 케이크를 들고 집으로 향했다. 날이 차가운 지난 12월 초, 어느 밤이었다.

“성재야, 소현아 아버지 왔다.”

아파트 현관문을 열며 아이들을 부르는 아버지의 입에서 생크림같은 하얀 김이 나왔다. 아이들은 아버지 입김처럼 하얀 이를 드러내며 방에서 뛰어 나왔다. 열 평 남짓한 임대아파트, 방에서 몇 걸음만 걸으면 현관인데도 아이들은 뛰었다. 케이크를 들고 또 방으로 뛰었다.

좁은 방은 아이들, 아버지, 할머니 살림과 육신으로 더 좁아졌다. 케이크를 올리려 상을 펴니 방은 또 좁아졌다. 케이크에 초를 꽂고 불을 붙이니 좁은 방이 환해졌다.

한쪽 벽엔 TV와 아이들 사진, 맞은편 옷장엔 별과 만화 캐릭터 스티커가 한가득, 저쪽 벽은 장난감과 책..아이가 있는 대개의 집 풍경과 다르지 않다. 딱 하나만 빼고 말이다.

엄마 흔적이 없다. 화장품은커녕 그 흔한 사진 한 장 없다. 엄마 사진은 집 깊은 곳에 숨겨져 있다. 두 아이와 아버지, 할머니 그 누구도 입 밖으로 엄마 이야기를 꺼내지 않는다. 이 집에서 ‘엄마’는 금기어다. 그립고 보고 싶어도 꺼내면 안 된다.

“살아야 하니까요, 우리도 살고 싶으니까요.”

아버지는 살기 위해서 엄마 흔적을 지웠다. 아이들은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았는데도 아버지의 마음을 안다. 누가 가르쳐 줬는지 엄마가 왜 안 돌아오는지 안다. 그래서 누가 시키지 않아도 엄마 이야기를 안 한다. 아버지는 그런 아이들이 서글프다.

엄마는 살해됐다. 상습 강간범 서진환이 엄마를 죽였다. 남편은 출근하고 두 아이는 어린이집에 간 2012년 8월 20일 오전이었다. 집엔 엄마 장주영(가명)뿐이었다. 소리 없이, 흔적 없이 서진환이 집에 들어왔다. 엄마는 서진환에 맞서 저항했다.

“도와주세요!”

“살려주세요! 사람 살려!”

엄마의 절규를 이웃이 듣고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이 오는 동안 엄마는 끝까지 싸웠다. 경찰이 집 현관문에 도착했을 때, 그 순간이 엄마의 최후였다. 서진환이 흉기로 엄마를 공격했다. 집은 지옥으로 변했다.

남편 박귀섭은 아내가 흘린 피 냄새를 기억한다. 아이들은 엄마의 마지막을 못 봤다. 갑자기 엄마가 사라졌다는 걸, 더는 엄마를 볼 수 없다는 현실을 강제로 받아들여야 했을 때, 성재는 5살 소현이는 3살이었다.

“아내가 그렇게 죽었는데, 내가 미치지 않고 이렇게 살아 있다는 게 신기해요. 그땐 정말 미치는 줄 알았어요. 거의 반 미쳤죠. 아내의 마지막..끔찍하고 처참했습니다. 그걸 어떻게 말로..“

미치지 않은 아버지의 눈이 붉게 젖었다. 자신이 미치면 아이들도 미칠 듯했다. 살아야했다. 지옥으로 변한 집에서 떠났다. 임대아파트에 사는 할머니집으로 아이들과 함께 거처를 옮겼다. 아이들은 정신과 상담 치료를 받았다.

미치지 않은 아버지에겐 하루하루 살아가는 게 미칠 노릇이다. 밤엔 어두워서, 낮엔 밝아서 눈물이 났다. 눈을 감으면 아내가 생각나고, 눈을 뜨면 엄마 찾는 아이들이 보였다. 아이들은 엄마가 보고 싶어서 울고, 그런 자기들 때문에 우는 아버지를 보면서 울음을 그쳤다.

일명 ‘중곡동 부녀자 살인사건’으로 아내를 잃은 박귀섭 씨. ⓒ셜록

그렇게 아버지와 아이들은 서로의 슬픔을 보면서 눈물 닦는 법을 배웠다. 아이들은 “보고 싶다”는 말을 생략한 채 그리운 사람을 가슴에 담는 법을 익혀 갔다. 하지만 그게 아이들에게 가당키나 한 일인가. 엄마가 그 작은 가슴에 쉽게 담기는 존재인가.

엄마가 하늘로 간 지 4개월여 뒤인 2012년 12월 25일 성탄절, 산타 할아버지가 어린이집을 찾았다. 산타 할아버지는 둘째 소현을 위로해 줄 양으로 한껏 웃으며 물었다.

“우리 착한 소현이, 받고 싶은 선물 있어요?”

“엄마요. 우리 엄마 좀 데려와 주세요.“

아버지 박귀섭은 이 이야기를 듣고 울었다. 아이들과 엄마 이야기를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아버지는 아프고 혼란스러웠다. 얼마 뒤, 아이들을 재우다가 아버지가 둘째 소현이에게 가만히 물었다.

“소현아, 엄마 보고 싶지?”

“아니..안 보고 싶어.”

37개월 된 소현이는 아버지 눈치를 보며 고개를 저었다. 박귀섭은 소현이 등을 작게 두드리며 “아버지 괜찮으니까, 솔직히 말해도 돼”라고 말했다. 그러자 소현이는 “엄마 보고 싶어”라고 말했다. 잠시 뒤 소현이는 아버지 품에서 잠들었다. 아버지는 뜬 눈으로 새벽을 맞았다.

아버지는 엄마의 죽음이 다 말해주지 않는 진실을 조금씩 알아갔다. 엄마가 죽은 그 현장에서부터 거꾸로 사건을 따라갔다. ‘사람 미치게 하는’ 사실을 하나씩 알게 됐다.

“알면 알수록 ‘아내가 운이 없었다’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고 뭉갤 수 없더라고요. 그런 과정을 거쳐서 내 가족이 죽었다고 하면, 누가 참을 수 있겠습니까?”

알고봤더니, 사건이 벌어진 그날 서진환은 감옥에 있어야 했다. 교도소에서 10년을 살아야 할 놈이 운 좋게(?) 7년 만에 자유의 몸이 됐다. 출소 9개월여 만에 두 아이의 엄마 장주영을 강간살해했다. 여기엔 검사님, 판사님의 이해하기 어려운 실수와 잘못이 있다. 서진환이 수감됐던 교도소, 관할 경찰서, 보호관찰소의 실수와 잘못도 얽혀있다. (추후 보도 예정)

이게 끝이 아니다. 장주영을 살해하기 13일 전, 서진환은 한 여성을 강간했다. 전자발찌를 찬 상태로 말이다. 피해자는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은 범인 유전자 정보까지 확보했다. 그럼에도 범인을 잡지 못했다. 서진환이 범인인지도 몰랐다. 경찰이 우왕좌왕하는 사이, 서진환은 장주영을 살해했다. 이때도 그의 발목엔 전자발찌가 채워져 있었다.

“이런 모든 상황을 그냥 ‘재수가 없었다’ ‘운이 나빴다’라고 치부해야 합니까?”

깊은 밤, 아버지 박귀섭은 고개를 흔들었다. 그는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 1심에서 졌다. 2심이 진행 중이다. 아버지는 지금도 싸운다. 국가의 책임, 손해배상 등을 알 리 없는 두 아이는 어느새 9살, 7살이 됐다.

아이들을 재워야 할 시간. 아버지는 좁은 방에 이불을 깔고 성재, 소현이를 눕혔다. 아이들은 쉽게 잠들지 않았다. 아버지는 불을 끄고 책꽂이에서 아무 동화책 한 권을 꺼냈다. 책을 펼쳐 아이들에게 읽어줬다. 아버지의 작은 목소리가 방에 낮게 깔렸다. 할머니는 베란다로 통하는 창문에 기대 앉아 아이들이 잠들길 기다렸다. 얼마쯤 읽었을까. 아버지가 긴장의 끈을 놓고 말았다.

“아기 곰에게 엄마가 사냥하는 법을..“

금기어 ‘엄마’가 튀어 나왔다. 아버지 목소리 끝이 흐려졌다. 어색해진 아버지 얼굴을 아이들이 어둠 속에서 가만히 바라봤다. 아버지는 급히 책장을 넘기며 ‘엄마’가 등장하지 않는 부분을 찾았다. 다시 아버지의 책 읽는 목소리가 작게 퍼졌다.

“아기 곰들은 무럭무럭 자랐어요..”

아이들 눈이 스르륵 감겼다. 잠이 오고, 잠들고, 꿈을 꾸고..이런 밤이 수없이 반복돼 열 살이 되면 엄마가 올까. 설날이 지나 추운 겨울이 가고 따뜻한 봄이 오면 엄마가 올까. 엄마는 어제처럼 내일도 돌아오지 않을 거다.

그걸 알면서도 아이들은 엄마를 기다린다.

다음날 아침, 눈이 내렸고 조금 쌓였다. 아버지는 아이들이 깨기 전에 출근했다. 눈 위에 아버지 발자국이 찍혔다. 엄마의 발자국은 어디에도 없었다. 죽은 사람은 발자국을 남기지 않는다.

엄마는 돌아오지 않는다.

(2016년 카카오 스토리펀딩에 연재한 기사입니다. 2021년 <셜록> 홈페이지 옮겼다는 걸 밝힙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