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대(1947년생)는 고모와 함께 살았다. 어린 시절 내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았던 궁금증.

‘다른 애들은 다 아버지가 있는데 왜 나는 아버지가 없을까.’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품에 안겨본 것은 겨우 네 살 때였다. 왜 고모 집에서 살아야 하는지, 왜 아버지는 돌아오지 않는지. 어린 박영대를 이해시켜줄 사람은 없었다. 기억조차 흐릿한 아버지란 존재. 아버지란 말은 물어봐서도, 그리워해서도 안 되는 ‘금기’처럼 굳어졌다.

어느새 고등학생으로 자란 박영대. 어느 날 집에 들어가니, 손님 한 분이 고모부와 술상을 앞에 놓고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집에 들어오는 박영대를 본 손님이 말했다.

“느그 처갓집은 형편이 괜찮나? 처조카(박영대)를 이때까지 키우고 공부시켰는갑네.”
“큰처남(박영대의 아버지)이 6·25 때 보도연맹 가입돼가지고 불려갔다가 못 와서, 지금까지도 기다리고 있다.”

이어지는 손님의 대답이 박영대의 귀에 송곳처럼 날아와 꽂혔다.

“아, 그 사람들 그때 다 죽었는데? 그 아들들도 국가에서 (공무원) 시험 칠 자격도 안 준다. 기업체 들어갈라 캐도 다 탈락시킨다 카더라.”

‘아버지는 돈 벌러 일본 가셨다 했는데 저 손님은 지금 무슨 소리를 하고 있는 건가’ ⓒpixabay

이게 대체 무슨 소린가. 보도연맹이라니.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니. 고모를 붙잡고 물어봤지만, 고모는 계속 말을 아꼈다. 방학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 방학을 보내러 고향집으로 간 박영대는 할아버지께 물었다. 그 손님의 이야기가, 자기가 들은 얘기가 사실이냐고.

“내가 니(박영대)한테 느그 아버지 일본에 돈 벌러 갔다 했지만, 니 용기 잃지 말라고 내가 거짓말한 거다. (니가 손님한테 들은) 그 소리가 맞다.”

할아버지는 긴 생각 끝에 이야기를 시작하셨다. 아버지는 누구였는지. 어떻게 사라졌는지.

“장가들기 전에 아버지는 일본서 건설회사 총무를 봤다 하더라고. 장가갈 때가 돼서 귀국을 했다가, 장가들고 나서 (다시 일본으로) 갈라 하는 걸 할아버지가 막았던 모양이지. 그래서 아버지는 농사도 짓고, 또 야학을 설립해서 동네 사람들 글도 가르치고 하셨다는 거라.”

박영대의 고향은 경남 창녕군 계성면 봉산리. 130여 호 모여 살던 특별할 것 없는 시골 마을. 아버지 박일춘(1925년생)은 그렇게 고향에 뿌리 내리고, 가정을 일구고 이웃을 도우며 살아가려 했다. 하지만 박영대의 나이 네 살. 아버지는 스물여섯 되던 1950년, 사건이 터졌다.

아버지는 보도연맹원이었다. 1949년 ‘좌익 전향자를 계몽·지도하여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받아들인다’는 목적으로 결성된 국민보도연맹. 이듬해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경찰들은 보도연맹원들을 불러모았다. 이들을 잠재적인 ‘적군’으로 간주한 것이다.

보도연맹원들은 모두 ‘좌익 전향자’였을까. 실제로는 ▲공비들에게 식량이나 의복을 어쩔 수 없이 제공했다는 이유로 가입되기도 하고 ▲징역을 살고 나와서 자동적으로 가입되거나 ▲도장을 잘못 찍어서 가입된 사람들도 많았다. 박영대의 아버지 박영춘이 바로 그랬다.

경남 창녕 국민보도연맹 사건 유족 박영대 ⓒ구자환 감독

“할아버지 말씀이, 아버지는 본인이 (보도연맹에) 가입한 게 아니고 일가친척 되는 사람이 아버지 도장을 가져가서 가입을 시켰다는 거라. 6·25가 터지니까 (그것 때문에) 경찰 지서에서 순경이 와가지고 아버지를 찾았는데, 그 길로 잡혀가서 지금까지 연락이 없다….”

다른 사람이 대신 도장을 찍었다니. 지금으로서는 믿기 힘들지만, 그때는 드문 일이 아니었다. 내무부 장관이 총재를 맡는 등 정부 주도의 관변단체였던 국민보도연맹은, 지역마다 마을마다 가입 할당량이 정해져 있었다. 그 때문에 비료나 곡식 등을 주겠다고 회유해서 가입시키거나, 보도연맹이 대체 뭔지 당사자도 잘 모르는 사이 가입원서에 도장을 찍어버리는 일들도 있었다.

박영대의 아버지 박영춘은 1950년 7월 중순 계성면 경찰 지서에 연행된 뒤 창녕경찰서에 구금됐다. 그리고, 돌아오지 않았다.

“(아버지가 창녕경찰서에 있을 때) 친척이 할아버지를 찾아와서 ‘쌀 한 말 값만 갖다 주면 나올 수 있다는데 그리 하이소’ 그랬다는 거라. 그런데 할아버지는 ‘죄도 안 지었는데 금방 나오겠지’ 하신 거지. 근데 한 일주일 지나도 아버지가 안 나와. 할아버지가 나중에 돈을 구해서 경찰서로 가보니까 이미 아버지는 없고, 어디로 갔는지 알 수도 없었으니까….”

그 여름, 박영대의 아버지처럼 영영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2009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는 ‘경남 창녕 국민보도연맹 사건’ 희생자 49명의 신원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 사건 희생자는 모두 최소 120명에서 최대 2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창녕경찰서 무도관(강당)에 보도연맹원들과 같이 구금되었다가 석방되었음. 처음에는 창녕경찰서 유치장에 구금되었으나 사람이 너무 많아서 무도관으로 옮겨졌음. 무도관에만 100여 명이 구금되어 있었음. 구금된 지 보름쯤 되었을 때 경찰이 들어와 사람들을 불러 나갔으며 경찰서 앞마당에 서 있던 군용트럭에 싣고 나갔음.”(생존자 신○○ 진술, 진실화해위원회 <경남 창녕 국민보도연맹 사건 조사보고서> 중)

‘경남 창녕 국민보도연맹 사건’ 희생자는 최대 200명으로 추정된다 ⓒpixabay

그렇게 군용트럭에 실려나간 보도연맹원들은 마산시민극장을 거쳐 마산형무소로 이송됐다. 그곳에서 다시 ‘괭이바다’(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원전마을과 거제시 장목면 칠천도 사이의 바다)로 옮겨진 사람들은 그곳에서 총살된 후 수장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마산형무소로 이송되지 않은 일부 사람들은 창녕읍 송현동 솔터마을 뒷산으로 끌려가 총살당했다.

아버지가 마산 앞바다에 빠졌는지, 창녕 솔터마을 뒷산에 묻혔는지 그건 분간할 수 없고…. 솔터마을 학살 이후에 시신을 땅에 묻으려고 동원돼 갔던 주민들 얘기를 들어보니, 총을 빗겨 맞아서 살아남은 사람들이 물 좀 달라고 아우성치고 있었는데, (경찰이) 또 쏴 직이더라고…. 야비하지, 야비해. 죄 없는 사람 그렇게 죽인 건 인간도 아니고….”

네 살 때 헤어진 아버지. 일본으로 돈 벌러 갔다는 거짓말. 박영대는 그리움과 원망으로 어린 시절을 다 보내고 나서야 진실을 알게 됐다. 할아버지의 거짓말을 믿었던 소년에게도, 손자에게 ‘하얀 거짓말’을 해야 했던 할아버지에게도 지울 수 없는 원한이 오래 남았다.

한이 남은 사람들 보면 죽어도 눈을 못 감는다 그러거든. 할아버지가 돌아가실 때 보니까 눈을 뜨고 계셨어요. 내가 눈을 감겨 드리니까 그때 눈을 감더라…. 그건 할아버지가 아들에 대한 한이 깊었기 때문에 눈을 못 감으신 거라고 나는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최규화 기자 khchoi@sherlockpress.com
구자환 감독 documob@hanmail.ne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