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일은 지난 8월 13일 자 <조선일보> 온라인판 기사에서 시작됐다. 제목은 독자 시선을 잡아 당겼다.

<“아들아” 소리도 외면… 중병 아버지 굶겨 사망케 한 20대 아들>

56세 아버지가 뇌출혈로 쓰러지자 한 가정에 닥친 비극을 다룬 기사. 아버지는 코에 삽입된 호스를 통해 음식물을 섭취했다. 온몸이 거의 마비됐으니 아기처럼 기저귀를 찼다. 폐렴으로 호흡 곤란이 올 수 있어 누군가 곁을 지켜야 했다. 욕창 방지를 위해 두 시간마다 누운 자세도 바꿔줘야 했다.

22세 아들은 아버지 돌보기를 포기하고 사망에 이르게 했다. 그는 존속살인 혐의로 징역 4년을 선고받았다. 

금세 여러 매체가 비슷한 기사를 쏟아냈다. 포털사이트에는 댓글 수천 개가 달렸다. 누구는 “인간의 도리를 어긴 패륜“이라 비난했고, 어떤 이는 “누가 이 청년에게 돌을 던질 수 있느냐“고 연민했다. 비난과 연민, 분노와 안타까움은 서로 뒤엉켜 오랫동안 싸웠다. 기사를 읽고 궁금했다.

‘왜 죽였지?’ 
‘22세 아들은 어떻게 살았길래 저런 선택을 했지?’

가난한 처지에서 기약없이 아버지 돌보는 게 막막했다는 내용은 기사에 담겼지만, 허전했다. 모든 매체의 기사는 대구지방법원 판결문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그 청년이 어디에서 어떻게 살았는지, 공공기관은 왜 돕지 않았는지, 가난의 정도는 어느 정도였는지…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다.

직접 알아보기로 했다. 익명 처리된 판결문을 받고, 고양시 법원도서관에서 실명 판결문을 확인했다. 아버지가 굶은 죽은 집에 갔고, 치료 받았던 병원을 찾았다. 청년의 친척과 주변 사람을 만났다. 발로 찾은 사실의 조각과 아버지를 죽인 혐의로 구속된 청년의 이야기, 이제 풀어놓는다.

조만간 이런 사건은 너무도 흔해서 뉴스도 안 될 수도 있다. 한국은 초고령 사회 진입을 목전에 뒀고, 직업 없는 청년은 가난하며, 박스 찾아 거리를 헤매는 노인은 가을의 낙엽처럼 너무도 흔하니까 말이다.

패륜과 인간의 도리, 원망과 동정으로 다 설명하기 어려운 어느 가족 이야기를 지금부터 시작한다. 

TOP